강사약력
[학력]
Delhi University(India) /초기불교 /철학 석사 & 박사
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/불교학 전반/ 학사
[경력]
2000. 03.- 현재까지 /동국대학교/외래교수/초기불교와 수행론, 인도불교사,
동남아 불교사, 비교종교(불교의 종교학적 이해) 강의
2014.12- 2017.11 고려대학교 철학과 철학연구소 / 연구교수 및 연구원/ 불교행복론 연구
2012.09.-2014.08 한국외대 인도연구소/연구원/인도, 방글라데시 그리고 미얀마 종교와 문화 연구(이슈 페이퍼, 정책보고서 등)
[저서]
- 공저 : 벵골만 정치경제 이해, 한국의 사원과 세계 불교문화, 조준호 주해『석보상절: 권6』
동국대 세계불교학연구소 편, 「세계의 불교학 연구』, 『부처님의 생애』, 『불교와 국가권력, 갈등과 상생』(공저)
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, 역경학 개론
- 단독 : Kahawatte Siri Sumedha Thera,『인도불교부흥운동의 선구자 - 제2의 아소카 아나가리카 다르마팔라』(Anāgārika Dharmapāla : The Lion of Lanka, Second Asoka in India)
강의계획서
[1차시] 9월 18일
총론 : 세계 문명에 인도의 기여
[2차시] 9월 25일
간디 아쉬람 - 비폭력 불살생 전통의 인류 역사적 위상
[3차시] 10월 02일
인도의 행복론 - 뿌르샤 아르타와 4주기
[4차시] 10월 16일
인도문화와 언어와 인도의 사회 체제(포용과 다양성)
[5차시] 10월 23일
고대인도의 종교 경전-베다와 우파니샤드
[6차시]10월 30일
사문(沙門: Śramana) 사상
[7차시] 11월 06일
니칸타 나타푸타의 자이나교
[8차시] 11월 13일
석가모니 붓다의 불교
[9차시]11월 20일
인도인의 세계관 - 세상의 근원과 본질
[10차시] 11월 27일
인도 문명의 방향과 한국문화